정의및 실험
교육심리학에서 심리적 행동의 하나로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습자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기대, 믿음, 예측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을 말한다.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과 레노어 제이콥슨에 의해 실험되었다,.
쥐를 통한 미로 찾기 실험을 시켰는데 쥐가 미로를 잘 빠져나오는 그룹과 그렇지 못한 그룹이 생겼고 그 두 그룹 간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쥐를 잘 돌보았던 그룹과 방치했던 그룹 사이에서 쥐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자 로젠탈은 이를 토대로 볼 때 교사와 학생 간에도 이런 게 통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실질적 교육현장 실험은 1964년 샌프란시스코의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졌다. 보통의 지능테스트였지만 학급 담임에게는 앞으로 성적이 오를 학생을 산출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그리고 무작위로 뽑은 아이들의 명단을 보여주며 앞으로 성적이 향상될 아이들이라고 알려주었다. 그 결과 교사의 기대했고 아이들은 정말로 성적이 향상했다.또한 아이들도 기대를 의식하였기 때문에 성적이 향상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피그말리온이라는 명칭은 그리스 신화 속에서 유래되었다, 피그말리온이 자신이 조각한 여성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고 이를 본 아프로디테가 그이 소원을 들어주어 조각상을 인간으로 만들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기대와 격려에서 그 기대에 부응하려 노력하게 되고 실제로 그렇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말한다,
로버트 로젠탈의 실험에 대한 비판의 이야기도 있다. 실험에 참가한 교사는 실험을 할 때 아이들의 명부를 대충 한번 훑어본 게 전부였다고 한다. 또한 명부에 기재된 아이들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했다. 그래서 재 실험이 있었는데 재실험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극히 일부만 인정되기도 했다.
반대용어 스티그마
그와 반대말은 스티그마 효과가 있다
스티그마 효과란 한번 나쁜 사람으로 인식되면 스스로 나쁜 행동을 하게 되는 효과를 말한다,
낙인효과라고도 하며 일탈행동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한다.
낙인효과란 예를 들면 어린아이에게 주위에서 '바보'라고 낙인찍히게 되면 이 아이는 갈수록 의기소침해지면서 본인이 진짜 바보인가 의심하게 되고 결국은 진짜 바보가 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대에게 부정적으로 무시를 당하거나 치욕을 당한 경우에 부정적인 영향을 당한 당사자가 점점 부정적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말한다. 일탈행위자,범죄자 또는 현대의 청소년 문제등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스티그마 효가가 이야기 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어기제 (0) | 2022.09.30 |
---|---|
우울증 (심리학용어) (0) | 2022.09.29 |
고전적 조건형성 (0) | 2022.09.28 |
알아두면 좋을 심리학 용어 (0) | 2022.09.28 |
스톡홀름 증후군 (0) | 2022.09.28 |
댓글